8. Get() 데이터  (+ source 분석)
─── Toy Project/Firebase - FriendlyEats 2024. 9. 27. 10:30 8. Get() 데이터 (+ source 분석)

Firebase Codelab : 8. Get() 데이터Firebase github    :  View Source    로컬에 클론해서 받았던 'friendlyeats-web' 경로에서 vs code 실행.vanilla-js \ scripts \ FriendlyEats.Data.js 열기  function getRestaurantsFriendlyEats.prototype.getRestaurant = function(id) { return firebase.firestore().collection('restaurants').doc(id).get();};   Terminal - hostingfriendlyeats-web/vanilla-js> $ firebase emulators:start --only ho..

7. Cloud Firestore의 데이터 표시
─── Toy Project/Firebase - FriendlyEats 2024. 9. 26. 15:19 7. Cloud Firestore의 데이터 표시

Firebase Codelab : 7. Cloud Firestore의 데이터 표시Firebase github    :  View Source    로컬에 클론해서 받았던 'friendlyeats-web' 경로에서 vs code 실행.vanilla-js \ scripts \ FriendlyEats.Data.js 열기 function getAllRestaurantsFriendlyEats.prototype.getAllRestaurants = function(renderer) {  var query = firebase.firestore()      .collection('restaurants')      .orderBy('avgRating', 'desc')      .limit(50);  this.getDocu..

6. Cloud Firestore에 데이터 쓰기
─── Toy Project/Firebase - FriendlyEats 2024. 9. 26. 10:16 6. Cloud Firestore에 데이터 쓰기

6. Cloud Firestore에 데이터 쓰기 이런 말이다... 'Firebase Console을 통해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'ㄴ 데이터를 'Firebase Console'에서 우리가 강제로 수동으로 넣을 수도 있지만,(= 개발자가 sql 편집기에서 INSERT 쿼리 스크립트 수행해서 넣거나) '앱 자체에서 이 작업을 수행하겠습니다.'ㄴ 브라우저에서 열린 '앱' = 자체에서도 수행할 수 있단 뜻이었다.(= 웹사이트에서 '추가' 버튼 누르면 이벤트 리스너로 db에 insert 동작되는) [데이터 모델] 섹션은 Codelab이 Firestore 데이터에 대해 설명해주는 부분. 그냥 sql문으로 insert 때려넣기도 되고,웹에서 기능 수행하면 저장된다는 그런 얘기인 듯?  참고 문헌Cloud Fires..

5. 로컬 서버 실행
─── Toy Project/Firebase - FriendlyEats 2024. 9. 25. 14:53 5. 로컬 서버 실행

터미널 경로$ pwd/Users/user1/Firebase/friendlyeats-web/vanilla-js  * CLI start 해보기Users/user1/Firebase/friendlyeats-web/vanilla-js> $ firebase emulators:start --only hosting Codelab에서는hosting: Local server: http://localhost:50005000이라지만 내 로컬에선 localhost:5002라고 한다.$ firebase emulators:start --only hosting(node:15159) [DEP0040] DeprecationWarning: The `punycode` module is deprecated. Please use a userl..

imag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