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8. CRUD API 만들기2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2024. 10. 20. 15:50
Table of Contents
* 일단 서버 전부 Stop 상태.
프로젝트 application.properties의 AS-IS는 이런 상태로 세팅하고 진행했었다.
spring.datasource.hikari.jdbc-url=jdbc:h2:mem://localhost/~/testdb;MODE=MYSQL
저 의미는 [ db에 연결할 주소인데 = jdbc:h2:mem://localhost/~/testdb 로 하면 ]
-> Console 로그에서도 jdbc:h2:mem://localhost/~/testdb 로 뜨고
-> 브라우저 h2 콘솔에서의 'JDB URL'에도 jdbc:h2:mem://localhost/~/testdb 로 적어야만 Connect 가 가능하다.
하지만 책에는 jdbc:h2:mem:testdb 로 되어있으니 수정하고 프로젝트를 ▷ Run 한다.
spring.datasource.hikari.jdbc-url=jdbc:h2:mem:testdb;MODE=MYSQL
-> Console 로그에서도 jdbc:h2:mem:testdb 주소로 접속해야한다고 뜨고
-> 브라우저 h2 콘솔에서의 'JDB URL'에도 jdbc:h2:mem:testdb Connect 했다.
Connect 하고 나면, (프로젝트를 ▷ Run하고 있어야함.)
(Oracle developer, DBeaver, HeidiSQL 같은) DB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다.
INSERT 쿼리문 실행.
크롬 브라우저에 localhost:8080/api/v1/posts/1 요청
'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. 템플릿 엔진 mustache 사용 (0) | 2024.10.20 |
---|---|
09. JPA Auditing (0) | 2024.10.20 |
07. CRUD API 만들기 (0) | 2024.10.20 |
06. JPA, h2 디비 적용하기 (0) | 2024.10.19 |
05. 롬복 플러그인 설치 후 테스트 (0) | 2024.10.19 |